책소개
디지털 미학 및 미디어 계보학의 관점에서 접근했다. 이론적 논의의 폭과 심도, 미디어와 인간 주체에 대한 통찰력을 고려할 때 마셜 매클루언의 『미디어의 이해』에 버금가는 현대적 고전이다. 이 책은 컴퓨터 게임, 디지털 사진, 영화, 텔레비전, 웹, 가상현실과 같은 테크놀로지가 어떻게 비매개성을 획득하고 미디어 자체를 하이퍼매개 방식으로 차용하는지를 탁월하게 설명한다.
재매개 이론을 논의하고 개별 미디어를 살펴본 다음 현대적 자아에 대한 흥미로운 이론을 펼치는데, 이를 통해 ‘가상적’이고 ‘네트워크화된’ 인간 주체를 얘기한다.
200자평
이론적 논의의 폭과 심도, 미디어와 인간 주체에 대한 통찰력을 고려할 때 마셜 매클루언의 『미디어의 이해』에 버금가는 현대적 고전이다. 이 책은 컴퓨터 게임, 디지털 사진, 영화, 텔레비전, 웹, 가상현실과 같은 테크놀로지가 어떻게 비매개성을 획득하고 미디어 자체를 하이퍼매개 방식으로 차용하는지를 탁월하게 설명한다.
지은이
제이 데이비드 볼터(Jay David Bolter)
노스캐롤라이나대학교에서 1977년 박사학위를 받고 동 대학의 교수를 역임한 후 조지아텍의 문학·커뮤니케이션·문화 대학(LCC)의 교수로 재직 중이다. 컴퓨터 테크놀로지, 그리고 영상 및 언어 커뮤니케이션을 주로 연구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증강현실, 디지털 예술, 미디어 이론에 관심을 갖고 있다. 저서로는 『튜링 인간 Turing’s Man: Western Culture in the Computer Age』, 『글쓰기 공간 Writing Space: The Computer, Hypertext, and the History of Writing』, 『스토리스페이스 Storyspace』 등이 있다.
리처드 그루신(Richard Grusin)
버클리 소재 캘리포니아대학교에서 1983년 박사학위를 받은 후 볼터와 함께 LCC의 교수로 재직 중이고, 과학-테크놀로지-문화, 그리고 정보 디자인 등을 연구, 강의하고 있다. 저서로는 『선험적 해석학 Transcendentalist Hermeneutics: Institutional Authority and the Higher Criticism of the Bible』, 『자연의 재생산 The Reproduction of Nature: Art, Science, and the National Parks, 1864∼1916』 등이 있다.
옮긴이
이재현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KBS와 충남대학교에 재직했고 한국언론학회 이사와 기획위원장을 역임했다. 현재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이며, 인터넷, 모바일 미디어 등의 디지털 미디어, 디지털 문화, 소프트웨어 연구, 그리고 미디어 수용자 조사 분석이 주요 연구 분야다. 지은 책으로 『디지털 문화』, 『모바일 문화를 읽는 인문사회과학의 고전적 개념들』, 『SNS의 열 가지 얼굴』, 『인터넷과 사이버사회』, 『멀티미디어와 디지털 세계』, 『모바일 미디어와 모바일 사회』 등이 있고 엮은 책으로 『트위터란 무엇인가』, 『컨버전스와 다중 미디어 이용』, 『인터넷과 온라인 게임』 등이, 옮긴 책으로 『소프트웨어가 명령한다』, 『재매개』, 『뉴미디어 백과사전』, 『디지털 모자이크』, 『인터넷 연구 방법』 등이 있다.
차례
역자 서문
서문
서론 : 재매개의 이중 논리
제1부 이론
제1장 비매개, 하이퍼매개, 그리고 재매개
제2장 매개와 재매개
제3장 재매개와 네트워크
제2부 미디어
제4장 컴퓨터 게임
제5장 디지털 사진
제6장 사진사실주의 그래픽
제7장 디지털 예술
제8장 영화
제9장 가상현실
제10장 미디어침투 공간
제11장 텔레비전
제12장 월드와이드웹
제13장 유비쿼터스 컴퓨팅
제14장 수렴
제3부 자아
제15장 재매개 자아
제16장 가상 자아
제17장 네트워크 자아
제18장 결론
용어 설명
참고 문헌
찾아보기